이 름 : 관리자
시 간 : 2020-07-29 09:45:28
|
조회수 : 663
http://www.newspost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9946
코로나 19 사태가 반년 이상 장기화 하는 상황에서 경기를 나타내는 수치들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. 특히 고령층 고용률이 2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고, 실업률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하는 등 어르신 일자리에도 타격을 가했다.
지난해 서울 종로구 서울시어르신취업지원센터에서 어르신 취업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취업기초교육을 진행했다.
28일 통계청이 발표한 ‘2020 5월 기준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’ 결과에 따르면 55세~79세 고령층 인구 1,427만 1천 명 중 취업자는 55.3%인 789만 5천 명으로 지난해보다 0.6% 포인트 하락했다. 문재인 정부가 대대적인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진행하면서 해마다 고령층 취업자는 증가세를 보였지만, 2018년 55.2% 이후 2년 만에 내리막길에 접어들었다.
고용률 상황도 비슷했다. 55~64세 고용률은 66.9%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% 포인트 하락했다. 반면 65세~79세 고용률은 40.4%로 0.3% 포인트 상승했다. 통계청 관계자는 “55~59세 중심으로 고용률이 많이 나빠졌다”며 “코로나 19 확산으로 도소매와 음식 숙박업 등 대면 서비스업 중심으로 영향을 받았다”고 설명했다.
고용률과 취업자 수가 내리막길에 접어들면서 실업률은 반대로 증가했다. 55~79세 실업률은 3.8%로 집계됐다. 이는 2005년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작성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. 55~64세 실업률은 3.9%로 지난해보다 0.8% 포인트 상승했다. 65~79세 실업률 역시 1.1% 포인트 오른 3.6%다. 5월 초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되면서 구직 활동이 늘면서 실업률 또한 상승했다고 통계청은 덧붙였다.
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사업·개인·공공서비스업이 37.1%로 가장 높았고, 도소매·음식·숙박업(19.2%), 농림어업(13.7%) 순으로 나타났다.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사업·개인·공공서비스업은 0.7% 포인트 상승했지만, 도소매·음식숙박업은 0.6% 포인트 하락했다. 코로나 19 확산이 대면 서비스업 취업률에 영향을 끼쳤다.
28일 통계청에 따르면 55세~79세 사이 고령층 어르신들이 장래 일하기 원하는 비율은 67.4%인 것으로 나타났다.
“우리는 아직 일하고 싶다”
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고령층 일자리까지 악영향을 끼치는 상황. 각종 통계에서 고령층 노동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지만, 여전히 어르신들은 일하기를 원한다. 통계청에 따르면 55세~79세 전체 고령층 인구 중 지난 1년간 구직 경험이 있는 사람은 272만 9천 명이다. 구직경험자 비율은 19.1%로 전년보다 0.3% 포인트 상승했다. 성별로 보면 남성(20.3%)이 여성(18%)보다 높았다.
고령층 중 장래 일하기 원하는 비율은 67.4%로 지난해보다 2.5% 포인트 상승했다. 그 이유로는 생활비 보탬이 58.8%로 가장 많았고, ‘일하는 즐거움’이 33.8%로 뒤를 이었다. 아울러 현재 취업자의 93.4%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다. 취업 경험이 있는 미취업자는 37.7%, 생애 취업 경험이 없는 자는 6.7%가 장래에 일하기 원한다고 답했다.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3세다.
73세까지 일하고 싶다는 어르신들의 일자리 선택 기준은 ▲ 일의 양과 시간대(27.3%) ▲ 임금수준(22.1%) ▲ 계속근로 가능성(17.6%) 순이다. 희망 일자리 형태는 전일제(56.7%)가 시간제(43.3%)보다 많았다. 전일제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2.1% 포인트 하락했다. 연령이 높을수록 전일제 희망 비중이 줄어들고, 시간제 희망 비중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.
희망하는 월평균 임금 수준은 150만~200만 원 미만이 22.7%로 가장 많았다. 100만~150만 원 미만이 19.5%로 뒤를 이었다. 200만~250만 원 미만은 17.9%다. 성별에 따른 차이도 보였다. 고령층 남성은 200만~250만 원 미만(23.1%)을 가장 많이 선호했으며, 여성은 100만~150만 원 미만(26.3%)을 원한다고 답했다.
출처 :
뉴스포스트(http://www.newspost.kr)